검색결과
  • 밤 외출 잦은 불 대통령

    【파리=주섭일 특파원】「지스카르·데스뎅」불 대통령의 사생활. 그것은 작년 연말 유력지「르·몽드」가 우려를 표시할 만큼 대통령의 지도력에 문제를 제기했고, 아직도 「미스터리」로 남아

    중앙일보

    1975.05.24 00:00

  • (311)콩에도 제암 효능이 있다

    암의 정체가 무엇인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암이 식생활·환경·식품첨가물 등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은 비교적 광범위하게 알려지고 있다. 예컨대 육류를 다량 섭취하는 구

    중앙일보

    1975.04.16 00:00

  • 인공색소의 화

    기호식품의 수급격증에 따라 식품가공업의 성장은 괄목할만한 것이 있으며, 가공도가 높은 식품이 홍수처럼 쏟아져 나와 시판되고 있다. 이 같은 경향은 양산된 인공식품이 갖는 장기보존성

    중앙일보

    1974.08.05 00:00

  • 인공색소는 문제아 만든다|미「화인콜트」박사의 보고서

    식용인공색소가 어린이행동에 미치는 영향, 항상 고통을 겪으면서도 치료가 쉽지 않은 여러 가지 피붓병의 치료법 등에 대한 의학지식이 발전하고 있다. 항상 말썽을 일으키는 문제아들도

    중앙일보

    1974.08.03 00:00

  • 기관지 천식과「알레르기」

    우리 주변에서 점점「알레르기」성 질환이 늘어감을 볼 수 있다.「알레르기」성 질환은 일종의 문화병으로 그 원인은 나무·꽃·새털 등 자연물질과「페니실린·쇼크」같은 약물, 그리고 화장품

    중앙일보

    1973.12.10 00:00

  • (1046)

    청주의 부패를 막느라고「살리실」산을 넣고있는데 국제보건기구에서 유해하다고 해서 보도기관에서 크게 취급하고 있었다. 청주에「살리실」산을 방부제로 쓰는 것은 일정 시대부터 내려오는 방

    중앙일보

    1973.02.06 00:00

  • 냉해

    오늘은, 활짝 갠 날씨다. 매연으로 하늘이 거슴츠레 하지만 않다면 나무랄데 없는 가을 날씨이다. 그러나 빛 좋은 개살구만도 못한 가을이다. 그 동안 천둥이 없었나, 우박이 없었나,

    중앙일보

    1972.10.05 00:00

  • 점심 수난시대

    요즘 샐러리맨들은 식욕수난시대를 겪고 있다. 어디서 무얼 먹을지, 점심시간이면 망설이는 일이 한 두번이 아니다. 샐러리맨의 매식은 우선 몇 가지 조건이 있다. 하나는 값이 대중적이

    중앙일보

    1972.06.27 00:00

  • 설사 발생과 예방

    여름철은 질병 중 설사가 가장 흔한 때이다. 각종 전염병의 창궐도 중요하지만 더위로 몸의 여러 가지 장기의 조화와 균형이 쉽사리 흐트러지기 때문에 자칫 설사가 나게된다. 흔히들 『

    중앙일보

    1972.06.26 00:00

  • 광견병|증상·예방과 치료

    무서운 광견병이 유행하고 있다. 한번 발병하는 경우 거의 사망을 면치 못하는 광견병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. 광견병의 증상·치료·예방에 대해 알아본다. 우리 나라를 비롯, 일본·중

    중앙일보

    1972.02.26 00:00

  • 식성은 성격을 말한다|식품 심리학 상으로 본 유형

    사람들의 성격이 어떤가 알아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. 그 가운데서 사람이 즐겨 먹고 가리는 음식을 통해서도 사람들의 성격을 가려낼 수 있다는 설이 있다. 즉「푸드·사이콜러지」

    중앙일보

    1971.11.27 00:00

  • 효능 역전 글루타민산 소다

    최근 「글루타민산 소다」가 고혈압 및 동맥경화의 원인 물질인 「코레스테롤을 감소시켰다는 실험 결과가 미국에서 발표되어 화제다. 「글루타민산 소다」의 뇌 장애설로 미국 내에서 떠들썩

    중앙일보

    1970.10.23 00:00

  • 껍질벗겨 싱싱한 피부로

    갓난아기는 매끄럽고 투명하며 티없고 피부를 지니고 세상에 나온다. 많은 여성들이 피부를 이처럼 완전한 상태로 환원시켜 보려고 허다한 시간을 소비하고 있지만 빈약한 피부손질 그리고

    중앙일보

    1970.05.07 00:00

  • 바른 이유식

    우리나라 어머니들은 [추유]를『젖을 아주 떼는 것』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잘못이다. 아기는 낳은지 5, 6개월쯤 되면 모유양이 줄고 또 모유에 함유된 영양도 줄어 젖

    중앙일보

    1970.03.02 00:00

  • 돌잡이엔 달걀을 어느 정도나

    문=돌잡이 아기입니다. 하루에 계란을 몇개나 먹이면 좋을지요. 적당한 분량과 조리방법을 말씀해주십시오. (서울수색동산30 이순영) 답=아기의 영양으로 계란은 소중한 음식입니다. 푹

    중앙일보

    1968.02.29 00:00

  • 봄이면 오는 계절병 조심|충분한 수면에 몸 깨끗이

    혹한이 지나고 따뜻한 봄이 오는 환절기를 맞아 각종 계절병이 일어난다. 우리 나라의 봄바람은 대부분 중국대륙의 황토지대에서 불어오고 있어 풍진과 황사를 동반하고 몹시 건조해 있다.

    중앙일보

    1967.02.16 00:00